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입니다 > 목회칼럼(권순혁목사)

본문 바로가기

목회칼럼(권순혁목사)

May 25, 2025 . 아름다운교회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입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아름다운교회
댓글 0건 조회 381회 작성일 25-05-25 15:50

본문

인도의 기차는 대부분 시간을 맞춰서 도착한 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기차가 3시간씩, 5시간씩 연착을 해도 불평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하루 늦게 도착하는 경우가 있다고도 하는데 그래도 어느 하나 불평하는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이런 곳에서 살다 미국으로 이민을 온 사람이 있다고 합시다. 이 사람이 나의 친구라고 가정해 봅시다. 여러분은 아마도 그 사람과 약속시간을 정해도 제시간에 만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인도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느리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도에 살아 보았던 많은 사람들이 일처리가 늦어서 고생한 경험들을 하나같이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느림의 생활 문화는 다름 아닌 인도인의 시간관념에서 오는 것입니다. 인도 사람들은 서구인들처럼 아침과 저녁을 하루로 생각하거나 삶과 죽음을 시작과 끝으로 보는 직선적 시간관념이 아니라, 오늘과 내일 혹은 이생과 내생을 연속으로 바라보는 순환적 시간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오늘 안 되면 내일 될 것이고, 내일 안 되면 언젠가는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에드워드 홀(Edward Hall)이라는 사람은 문화권에 따라 단일시간(monochronic time)과 복합시간(polychronic time)을 사람들이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단일시간을 선호하는 유럽과 미국 같은 경우, 사람들은 한번에 한가지 일만을 처리하면서 시간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복합시간을 선호하는 동남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의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일들을 상황에 맡게 처리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 말은 이 사람들이 일을 처리하는 효율성보다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이들에게 시간을 맞추는 것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중남미에 가보면 사람들이 관공서에 일처리를 하기 위해 줄을 서는데 몇시간이 지나도 그들은 아랑곳 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그 일을 처리하기 위해 온 사람들이 아니라 사람들과 대화하기 위해 그곳을 온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시간 하나만 보더라도 이렇게 다른 사람들이 지구상에 많이 존재합니다. 만약 우리가 친구와 약속을 했는데 10, 20분 정도가 아니라 2시간을 늦게 나온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겠습니까? 아마 우리는 그것에 대해 굉장히 심한 비판을 가할 것입니다. 그것은 틀렸다고 말하면서요. 그런데 한발자국만 물러서서 생각해 보면 틀려서가 아니라 달라서 생기는 문제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물론 틀린 문제라면 이야기는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문제들이 틀려서라기보다 달라서 생기는 문제들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먼저, 틀린 것이 아니라 달라서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가져야 합니다. 둘째로, 문화 차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셋째로, 상대방을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들일 줄 아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무조건 틀렸다고 하기 이전에 달라서 그런 것은 없는지 한번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그러면 생각보다 많은 문제와 갈등이 해결될지도 모르겠습니다.


© Areumdawoon Church ALL RIGHT RESERVED. Powered by CROWN MINISTRY